티스토리 뷰
금리가 오른다고 합니다. 주식은 너무 올라 지금 들어가기 무서우시죠? 알뜰히 모은 돈이 1년 후 한 푼이라도 더 벌 수 있도록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여전히 연 5%대의 예금금리를 선보이는 곳이 있습니다.
제1 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누어 정리해드릴 테니 끝까지 잘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
- 제1 금융권 예금금리 높은순
- 2금융권 금리 정리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
경제 위기엔 안전 자산에 넣으라고 합니다. 정기예금이 그 중 하나입니다. 나의 소중한 자산을 아무 곳에나 넣을 수는 없습니다.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을 찾아야 합니다.
집근처 은행을 다 돌아 다닐 수도 없고 은행별로 모두 검색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들어갑니다. 제가 한 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제1금융권 우리가 아는 각 지역은행, 국민, 신한, 우리 등보다는 2금융권에 속하는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등이 예금금리가 높습니다.
두 금융권은 적게는 최대 2% 가까이 차이가 나는 곳도 있습니다.
예금금리가 2% 차이이고 1,000 만원을 예금한다고 가정하면 1년 후 받을 수 있는 이자는 20 만원이나 차이가 납니다. 본인의 성향에 따라 은행을 결정하시겠지만 무조건 제1금융권에 맡기는 것만이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현재 5%대의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새마을금고입니다. 하지만 2금융권이라 선뜻 가입하러 가기가 겁납니다.
2금융권에 속하는 은행들도 5,000만 원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리 금리가 높아도 나는 2금융권이 불안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제1 금융권 은행 종류 2금융권 차이
나의 소중한 몫돈을 어디에 보관해야 하나 고민이신가요? 우리는 흔히 제1 금융권 은행은 튼튼하고 2금융권은 좀 불안하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예금 금리만 본다면 2 금융권이 상당히
money.joablue.com
위의 글도 확인하셨다면 제1 금융권 예금금리 높은 순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2금융권 금리 정리도 해드립니다.
제1 금융권 예금금리 높은 순
예금을 한다고 하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이 금리가 높은 줄 알면서도 제1 금융권 예금금리를 찾아보게 됩니다. 오늘은 직접 찾아보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제가 제1 금융권 예금금리 높은순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제1 금융권 예금금리 높은순 (1,000 만원 예금시 이자 정리 포함)
순위 | 12개월 | 이자(세전) | 이자(세후) | 은행 | 상품 |
1 | 3.95% (6개월 가능) | 395,000원 | 334,170원 | 수협은행 | 헤이정기예금 |
2 | 3.90 (6개월 가능) | 390,000원 | 329,940원 | SC제일은행 | e-그린세이브예금 |
3 | 3.8 (6개월 가능) | 380,000원 | 321,480원 | 전북은행 | JB다이렉틍예금 |
4 | 3.8 (12개월만 가능) | 380,000원 | 321,480원 | 전북은행 | JB123정기예금 |
5 | 3.8 (24개월 가능) | 380,000원 | 321,480원 | 케이뱅크 | 코드K정기예금 |
6 | 3.73 (6, 24, 36개월 가능) | 373,000원 | 315,558원 | 우리은행 | WON플러스예금 |
7 | 3.60 | 360,000원 | 304,560원 | 부산은행 | 더특판 |
8 | 3.57 | 357,000원 | 302,022원 | 기업은행 | 1석7조 |
9 | 3.55 | 355,000원 | 300,330원 | 농협은행 | NH올원e |
10 | 3.50 | 350,000원 | 296,100원 | 경남은행 | BNK주거래우대 |
우리가 맡긴 돈의 이자를 모두 받고 싶지만 15.4% 소득세와 농특세를 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를 가장 많이 주는 곳은 수협은행입니다.
위 표에서 살펴보았듯이 전북은행에서 내놓은 JB123정기예금을 제외하고는 모든 곳이 6개월 단기 예금도 가능합니다.
수협은행, SC제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36개월 제외) 을 제외하면 24개월 상품과 36개월 상품으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나는 한 번에 오랫동안 묵혀두고 싶다고 하시는 분은 다시 금리를 확인하셔서 은행을 선택하세요. 왜냐하면 예금 기간이 길어지면 은행별 예금금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24개월 예금금리와 36개월 예금금리가 높은 순은 아래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방문을 원하지 않으시는 분을 위해 제가 2년 혹은 3년 동안 예금시 받을 수 있는 이자에 대해 아래 그림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36개월 정기예금시 가장 많은 이자를 받을 수있는 곳은 기업은행입니다.
24개월 동안 맡길 시 가장 많은 이자를 주는 은행도 기업은행입니다.
2금융권 금리 정리
2금융권도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잘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2금융권에만 있는 5%대 금리를 소개하겠습니다.
1금융권과 똑같이 1,000만원을 예금한다고 가정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입니다.
- 2금융권 이자 높은 순
순위 | 금리 | 금융기관 | 상품 | 세전이자 | 세후이자 |
1 | 5.20% | MG연희 | 더뱅킹정기예금 | 520,000원 | 439,920원 |
2 | 5.18 | MG파주 | 더뱅킹 | 518,000원 | 438,228원 |
3 | 5.10 | MG양주 | 더뱅킹 | 510,000원 | 431,460원 |
4 | 5.10 | MG도봉 | 위 상품과 같음 | 510,000원 | 431.460원 |
5 | 5.10 | MG남대문 | " | 510,000원 | 431,460원 |
6 | 5.10 | MG서울축산 | " | 510,000원 | 431,460원 |
7 | 5.10 | MG왕십리중앙 | " | 510,000원 | 431,460원 |
8 | 5.10 | MG종로중앙 | " | 510,000원 | 431,460원 |
9 | 5.05 | MG홍은 | " | 505,000원 | 427,230원 |
10 | 5.05 | MG개봉 | " | 505,000원 | 427,230원 |
2금융권에서 현재 가장 많은 이자를 주는 곳은 새마을금고입니다. 새마을금고는 지역별로 다릅니다.
우리 동네 새마을금고는 5% 금리를 주는 곳이 없다고 아쉬워하셨나요?
괜찮습니다. 지역은 달라도 인터넷으로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두 5%의 높은 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원한 가정에서 편하게 가입하시라고 아래 새마을금고 인터넷뱅킹 홈페이지를 통해서 가입가능합니다.
- 제1금융권 이자와 2금융권 이자 차이
1. 제1 금융권에서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이율 : 3.95%
2. 2금융권에서 가장 높은 이자 : 5.20%
3. 이 두곳의 이율은 1.25% 차이가 나고 이자는 105,750원 차이가 납니다.
1,000만 원 맡길 시 2금융권에서 10만 원 이상 더 받으실 수 있습니다. 1%라고 하면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같지만 내가 맡기는 금액이 클 수록 더 많이 받아가실 수 있습니다.
위에서 제가 알려드린 금리들을 잘 살펴 보시고 나의 소중한 자산이 일 년 후에 더 많아 질 수 있도록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1개월만 맡겨도 이자를 주는 곳이 궁금하시다면 아래글을 꼼꼼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단기 예금 추천 한 달만 맡겨도 이자 주는 곳
만기된 예금을 최소 2달 ~ 3달 후에 써야 하는 경우가 많죠? 다시 예금을 넣으려면 최소 6개월은 맡겨야 이자가 나옵니다. 우리의 소중한 몫돈은 자유입출금 통장에 고스란히 원금만 남게 됩니다.
money.joablue.com
이사나 가전제품을 사기 위해 예금한 돈을 찾아서 몇 달 그냥 두면 손해입니다. 한 달이라도 맡기시어 맛있는 밥 한끼 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정기승차권 발급방법 및 현금영수증 등록 (0) | 2023.08.09 |
---|---|
알뜰교통카드 사용법 나에게 가장 적합한 것 (0) | 2023.08.05 |
단기 예금 추천 한 달만 맡겨도 이자 주는 곳 (0) | 2023.07.25 |
2024년 최저시급 확정 내가 받을 월급 계산 (0) | 2023.07.21 |
주휴수당 계산법 일용직 알바도 가능할까 (0) | 2023.07.19 |